국제 적십자 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는 1863년 설립된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인도주의 기구이다. 앙리 뒤낭의 솔페리노 전투 참관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 희생자 지원 개선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제네바 협약의 제정을 주도했다. ICRC는 전쟁 포로, 부상자, 민간인 보호 및 지원을 통해 국제 인도주의법과 원칙을 증진하며, 노벨 평화상을 세 차례 수상했다. ICRC는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의 일원으로서, 각국 적십자사·적신월사, 국제적십자사연맹과 협력하여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및 대한적십자사와도 협력하여 국제 인도법 보급 및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인권 단체 - 국제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
국제적십자사·적신월사연맹(IFRC)은 1919년 파리에서 설립되어 전 세계 190여 개의 적십자사 및 적신월사를 연결하는 국제 네트워크로서, 재난 구호 활동과 인도주의적 활동을 전개하며 국가 단체의 역량 강화 및 지역사회 참여를 중시하는 양자주의적 접근 방식을 통해 국제적 협력과 지원을 제공한다. - 1864년 설립된 단체 - 국제노동자협회 (1864년)
국제노동자협회는 19세기 산업혁명 속 노동자 계급의 성장과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1864년 런던에서 설립된 최초의 국제 노동자 조직으로, 칼 마르크스의 주도 하에 노동자 권익 향상을 위한 강령을 제시하며 국제 노동 운동을 이끌었으나 이념적 갈등과 탄압으로 1876년 해산되었지만, 이후 국제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 발전에 중요한 초석을 놓았다. - 1864년 설립된 단체 -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은 전쟁과 재해 피해자를 구호하는 국제적인 조직으로,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제 적십자·적신월사 연맹, 각국 적십자사 등으로 구성되며 인도, 공정성 등의 가치를 바탕으로 활동한다. -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 - 일본 적십자사
일본 적십자사는 일본 적십자사법에 근거한 인가법인이자 국제 적십자 운동의 일원으로서, 박애사를 전신으로 하여 국내외 재해 구호, 의료 사업, 혈액 사업 등 인도주의적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이다. -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 - 미국 적십자사
미국 적십자사는 1881년 클라라 바턴이 설립한 미국의 인도주의 단체로, 재난 구호, 혈액 서비스, 교육, 군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다양한 재난에 대응해 왔지만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국제 적십자 위원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국제 적십자 위원회 |
로마자 표기 | Gukje Jeoksipja Wiwonhoe |
프랑스어 이름 | Comité international de la Croix-Rouge |
스페인어 이름 | Comité Internacional de la Cruz Roja |
약칭 | ICRC |
설립일 | 1863년 2월 17일 |
유형 | 국제 비정부 기구 |
목적 | 분쟁 피해자 보호 및 지원 제공 |
본부 | 제네바, 스위스 |
활동 지역 | 전 세계 |
분야 | 인도주의 |
총재 | 미르야나 스폴자리치 에거 |
부총재 | 질 카르보니에 |
사무총장 | 피에르 크래헨뷔흘 |
예산 | CHF 15억 7670만 (2016년) |
본부 예산 | 2억 370만 |
현장 운영 예산 | 14억 6200만 |
직원 수 | 15,448명 (2016년 평균) |
웹사이트 | 국제 적십자 위원회 |
수상 내역 | |
노벨 평화상 | 1917년 1944년 1963년 |
추가 정보 | |
관련 단체 |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 |
기타 | |
혼동 주의 | 국제 적십자·적신월사 연맹 |
2. 역사
1859년 솔페리노 전투에서 끔찍한 광경을 목격한 스위스 사업가 앙리 뒤낭은 그 경험을 바탕으로 『솔페리노의 회상』을 저술했다. 그 책에서 그는 전쟁 희생자 지원 개선을 위해 두 가지 제안을 했다.
# 전투에서 부상자와 환자를 적과 아군을 구분하지 않고 구호하기 위해 평시부터 각국에 구호 단체를 조직할 것
# 전시 중 구호 요원과 부상자 보호에 관한 국제 조약을 체결하는 등 각국의 동의를 얻을 것
이 두 가지를 실현하기 위해 1863년 "5인 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for Relief to the Wounded: 난민 구호를 위한 국제 위원회, 또는 Committee of Five)가 제네바에 설립되었고, 이후 "국제적십자위원회(ICRC)"가 되었다. 이후 각국에 적십자사·적신월사가 설립되었고, 2018년 현재 191개의 적십자사·적신월사가 세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뒤낭의 두 번째 제안은 1864년 제네바 협약(적십자 협약이라고도 불림) 초안의 기초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9년에는 네 개의 협약으로 발전했다. ICRC는 설립 이후 150년 이상 제네바 협약에 따라 포로, 부상자, 민간인, 그리고 분쟁 희생자의 생명과 존엄을 보호하고 지원하면서 국제 인도주의법 및 인도주의 원칙의 보급과 증진에 힘쓰고 있다. ICRC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전쟁 포로와 피해자 구호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1917년과 1944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또한 창설 100주년인 1963년에는 국제적십자·적신월사연맹과 함께 세 번째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90년에는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총회 옵서버 지위도 부여받았다. 참고로, 노벨 평화상이 시작된 1901년 제1회 수상자가 바로 앙리 뒤낭이다.
2. 1. 설립 배경: 앙리 뒤낭과 솔페리노 전투
19세기 중반까지 전쟁터에서 부상병에 대한 적절한 치료와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권이 무시되는 상황이 만연했다.[7] 1859년 6월, 스위스 사업가 앙리 뒤낭은 나폴레옹 3세를 만나기 위해 이탈리아를 여행하던 중 솔페리노 전투의 참상을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7] 하루 만에 양측에서 약 4만 명의 병사가 전사하거나 부상당한 채 전장에 남겨졌고, 의료 지원과 기본적인 치료는 거의 전무했다.[7]
뒤낭은 카스틸료네 마을 주민들과 함께 부상병 구호 활동을 펼쳤으며, 사재를 털어 음식과 의약품을 마련하고 군의관들을 동원해 줄 것을 군 책임자에게 부탁했다. 제네바로 돌아온 뒤낭은 1862년 자비로 『솔페리노의 회상(Memory of Solferino)』을 출간하여 전쟁의 참상을 알리고 인도주의적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7] 그는 책에서 전쟁 시 부상자를 간호하기 위한 국가 자원봉사 구호 단체 설립과 전장에서 부상자와 의료진, 야전 병원의 중립성 및 보호를 보장하기 위한 국제 조약 개발을 촉구했다.[7]

1863년 2월 9일, 제네바 공공복지협회는 뒤낭의 제안을 고려하기 위해 귀스타브 무니에, 루이 아피아, 테오도르 몽누아르, 기욤앙리 뒤푸르와 뒤낭을 포함한 5인 위원회를 구성했다.[8] 1863년 2월 17일, 위원회는 "전쟁 시 부상자 구호를 위한 국제 위원회"로 명칭을 결정하고, 10월(26~29일) 제네바에서 국제 회의를 개최했다.[8][9] 회의에는 16개국 대표 등이 참석했으며, 부상병을 위한 국가 구호 단체 설립, 부상병의 중립성과 보호, 붉은 십자가가 새겨진 흰색 완장 도입 등의 제안을 채택했다.[9]
1년 후, 스위스 정부는 외교 회의를 열었고, 1864년 8월 22일 12개국 대표가 제네바 협약에 서명했다.[10]
협약은 부상병, 현장 의료진 및 인도주의 기관에 대한 중립성과 보호를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0] 제네바 협약 체결 직후 여러 국가에 적십자사가 설립되었고, 1864년 루이 아피아와 찰스 윌리엄 메러디스 반 데 벨데는 적십자 상징 아래 활동하는 최초의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대표가 되었다.[10]

1867년 앙리 뒤낭은 사업 실패로 파산하고, 국제 적십자 위원회에서 축출되었다.[11] 이후 유럽 거의 모든 국가에 국가 협회가 설립되었고, 1876년 위원회는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라는 이름을 채택했다.[12] 1901년 최초의 노벨 평화상은 앙리 뒤낭과 프레드리크 파시에게 공동 수여되었다.
앙리 뒤낭은 『솔페리노의 회상』에서 전투에서 부상자와 환자를 적과 아군을 구분하지 않고 구호하기 위해 평시부터 각국에 구호 단체를 조직하고, 전시 중 구호 요원과 부상자 보호에 관한 국제 조약을 체결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1863년 "5인 위원회"가 제네바에 설립되었고, 이는 이후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가 되었다. 각국에 적십자사·적신월사가 설립되었고, 2018년 현재 191개가 활동 중이다. 뒤낭의 제안은 1864년 제네바 협약의 기초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9년 네 개의 협약으로 발전했다. ICRC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전쟁 포로와 피해자 구호에 공헌하여 1917년과 194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고, 1963년 세 번째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90년에는 유엔 총회 옵서버 지위를 부여받았다.
2. 2.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의 탄생
19세기까지만 해도 전쟁터에서 부상을 당한 군인은 아무런 치료나 보호를 받지 못한 채 죽는, 인권이 무시되는 일이 다반사였다. 1859년 6월 스위스 제네바 출신 사업가였던 장 앙리 뒤낭은 사업차 나폴레옹 3세를 만나기 위해 이탈리아를 여행하던 중 솔페리노 전투를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7] 제네바(Geneva)로 돌아온 뒤낭은 1862년 자비로 『솔페리노의 회상(Memory of Solferino)』을 출간하여 전쟁의 참혹함을 알리고, 전쟁 부상자들을 돕기 위한 두 가지 제안을 했다.[7]{{인용문|
1. 평시 구호기관을 설립하여 전시 부상자들을 구호할 봉사원들을 훈련시키자.
2. 이러한 구호기관과 봉사원들의 안전한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국제 협약을 만들자.}}
앙리 뒤낭의 제안은 유럽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고, 제네바 공공복지협회(Geneva Society for Public Welfare)는 이 제안을 검토하기 위해 앙리 뒤낭, 귀스타브 무니에(Gustave Moynier), 루이 아피아(Louis Appia), 테오도르 몽누아르(Théodore Maunoir), 기욤앙리 뒤푸르(Guillaume-Henri Dufour) 5명으로 위원회를 구성했다. 1863년 2월 17일, 이들은 첫 회의를 열고 “전쟁 시 부상자 구호를 위한 국제 위원회”로 계속 존재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8]
위원회는 1863년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제네바에서 국제 회의를 개최하여 전장에서 의료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논의했다.[9] 회의에는 16개국 대표를 포함하여 36명이 참석했고, 회의 결과 붉은 십자가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9]
1년 후, 스위스 정부는 각국 대표들을 초청하여 외교 회의를 개최했고, 1864년 8월 22일 제네바 협약(Geneva Conventions)이 채택되었다.[10] 이 협약은 부상병, 의료진, 인도주의 기관에 대한 중립성과 보호를 보장하는 최초의 국제법적 기반을 마련했다.[10] 협약에는 12개 국가 및 왕국의 대표들이 서명했다.[10]
이후 전시부상자구호위원회는 '''국제 적십자 위원회'''로 이름을 바꾸고 인도주의 활동을 확대했다. 1864년에 루이 아피아와 찰스 윌리엄 메러디스 반 데 벨데(Charles William Meredith van de Velde)는 무장 분쟁에서 적십자 상징 아래에서 활동하는 최초의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대표가 되었다.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ICRC의 역할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는 각국 적십자사와 협력하여 전쟁 포로 지원, 민간인 구호, 정보 제공 등 인도주의적 활동을 전개해야 하는 엄청난 어려움에 직면했다.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의 적십자 간호사들이 전쟁에 참전한 유럽 국가들의 군대 의료 서비스를 지원했다. 1914년 10월 15일, ICRC는 국제 포로 수용소(POW) 기관을 설립하여 포로 정보 관리, 서신 교환, 송환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1914년 말까지 이 기관의 직원 수는 대부분 자원봉사자 1,200명 정도였다. 전쟁이 끝날 무렵 이 기관은 약 2천만 통의 편지와 메시지, 190만 개의 소포, 그리고 약 1800만 스위스 프랑의 금전 기부금을 모든 관련 국가의 포로들에게 전달했다. 이 기관의 개입으로 약 20만 명의 포로가 교전국들 사이에서 교환되어 고국으로 돌아왔다. 이 기관의 조직 카드 색인에는 1914년부터 1923년까지 약 700만 건의 기록이 축적되었는데, 각 카드는 개별 포로 또는 실종자를 나타낸다. 이 카드 색인은 약 200만 명의 포로를 확인하고 가족과 연락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현재 이 색인은 ICRC에서 제네바에 있는 국제 적십자 적신월 박물관에 대여되어 있으며, 접근 권한은 여전히 ICRC에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다.전쟁 기간 동안 ICRC는 교전국들이 1907년 개정 제네바 협약을 준수하는지 감시하고 위반에 대한 불만을 해당 국가에 전달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화학 무기가 사용되었을 때, ICRC는 이 새로운 유형의 전쟁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했다. 제네바 협약의 권한을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ICRC는 민간인의 고통을 완화하려고 노력했다. 공식적으로 "점령지"로 지정된 지역에서는 ICRC가 1907년 헤이그 협약(Hague Conventions (1899 and 1907))의 "육상 전쟁의 법률 및 관습"에 따라 민간인을 지원할 수 있었다. 이 협약은 또한 ICRC가 포로를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법적 근거였다. ICRC는 포로 수용소에 대한 검사 방문을 포함했는데, 전쟁이 끝날 때까지 ICRC의 41명의 대표가 유럽 전역의 총 524개 수용소를 방문했다.
1916년에서 1918년 사이에 ICRC는 포로 수용소의 장면이 담긴 여러 엽서를 발행했다. 사진에는 편지 배달과 같은 일상 활동을 하는 포로들이 나와 있다. ICRC의 의도는 포로들의 가족에게 희망과 위로를 제공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의 운명에 대한 불확실성을 완화하는 것이었다. 전쟁이 끝난 후 ICRC는 약 42만 명의 포로들을 고국으로 돌려보내는 작업을 조직했다. 1920년에 본국 송환 작업은 새로 설립된 국제 연맹에 넘겨졌고, 국제 연맹은 노르웨이 외교관이자 과학자인 프리드티오프 난센을 "전쟁 포로 송환 고등판무관"으로 임명했다. 난센은 무국적 난민을 위한 '난센 여권'을 발명하고 192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ICRC의 두 대표를 그의 부관으로 임명했다.
ICRC는 191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는데,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수여된 유일한 노벨 평화상이었다.
전후 미국 적십자사 전쟁 위원회 의장이었던 헨리 포머리 데이비슨은 여러 국내 적십자 단체들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한 국제 기구 설립을 촉구했고, 그의 권고에 따라 1919년 5월 15일 영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그리고 미국의 단체들에 의해 적십자사 연맹이 설립되었다. 데이비슨은 이 연맹이 국제 문제에서 적십자 활동을 통제하는 데 있어 ICRC를 대체하기를 원했다.
1923년 위원회는 신규 회원 선출과 관련된 정책 변경을 채택하여, 제네바 시민만이 위원회에서 일할 수 있었던 제한을 스위스 시민 전체로 확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직접적인 결과로 1925년 제네바 협약에 추가 의정서가 채택되어 질식성 또는 독성 가스와 생물학적 작용제를 무기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4년 후 원래 협약이 개정되었고 제2차 제네바 협약인 "전쟁 포로의 대우에 관한 협약"이 체결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ICRC의 관련 활동은 국제 사회에서 위원회의 명성과 권위를 크게 높였고, 그 권한을 확대했다.
1934년 초기에 무력 충돌 중 민간인 보호를 위한 추가 협약 초안이 국제 적십자 회의에서 채택되었으나, 대부분의 정부는 이 협약을 이행하는 데 관심이 거의 없었고, 따라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기 전에 발효되는 것을 막았다.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ICRC의 한계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는 제네바 협약(1929년) 개정판과 1933년 10월 28일의 난민의 국제적 지위에 관한 협약에 근거하여[18] 전쟁 포로 수용소 방문 및 감시, 민간인 구호 지원 조직, 포로 및 실종자 관련 메시지 교환 관리 등의 활동을 수행했다.[19] 전쟁이 끝날 무렵 179명의 대표가 41개국 전쟁 포로 수용소 12,750곳을 방문했으며, 전쟁 포로 중앙 정보국에는 3,000명의 직원이 있었고, 포로 추적 카드 색인에는 4,500만 장의 카드가 있었으며, 1억 2,000만 건의 메시지가 교환되었다.[19]
그러나 ICRC의 활동에는 한계가 있었는데, 나치가 통제하는 독일 적십자사가 대량 학살과 같은 제네바 협약의 노골적인 위반 행위를 자행했기 때문이다.[19] 또한 소비에트 연방과 일본은 1929년 제네바 협약 당사국이 아니었기 때문에 협약 규칙을 준수할 법적 의무가 없었다.[19]
ICRC는 강제 수용소 수감자의 처우에 관한 나치 독일과의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고, 전쟁 포로와의 업무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압력 행사를 포기했다.[20] 1942년에 제안된 적대 행위 수행에 대한 항소는 철회되었고,[20] 절멸 수용소와 유럽 유대인 대량 학살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대응을 개발하지 못했다.[20]
스위스 역사가 장-클로드 파베즈는 적십자가 1942년 11월까지 나치의 유대인 말살 계획을 알고 있었고 미국 관리들과도 논의했지만, 유대인 단체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침묵을 지켰다고 한다.[22] 적십자는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스위스 정부의 자금 지원을 크게 받았기 때문에 스위스의 전시 태도와 정책에 매우 민감했다. 1942년 10월 스위스 정부와 적십자 이사회는 나치의 민간인 박해를 비난하는 제안을 거부했다.[23]

1945년 3월 12일, ICRC 회장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SS 장군 에른스트 칼텐브루너로부터 ICRC 대표단의 강제 수용소 방문을 허용한다는 메시지를 받았다. 그러나 대표단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수용소에 머물러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24] 루이 햐플리거(마우트하우젠 수용소), 폴 뒤낭(테레지엔슈타트 수용소), 빅토르 마우러(다하우 수용소) 등 10명의 대표가 이 임무를 수락하고 수용소를 방문했다.[24]

1944년, ICRC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활동에 대한 공로로 두 번째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전쟁이 끝난 후, ICRC는 전국 적십자사와 협력하여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국가에 대한 구호 지원을 조직했다. 1996년 1월부터 ICRC의 이 기간에 대한 기록 보관소가 학계 및 대중 연구에 공개되었다.
1995년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 해방 기념식에서 코르넬리오 소마루가(Cornelio Sommaruga) ICRC 위원장은 강제수용소 희생자들과 관련하여 적십자의 과거 실수와 결점에 대해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29] 2002년 ICRC 관계자는 법적, 윤리적, 정치적 관점에서 조직이 실패로부터 얻은 교훈들을 설명했다.[30] 2005년 1월 27일 공식 성명에서 ICRC는 아우슈비츠가 ICRC 역사상 가장 큰 실패를 나타낸다고 밝혔다.[31]
2. 5. 냉전 시대 이후의 ICRC
1949년 8월 12일, 기존의 두 개의 제네바 협약에 대한 추가 개정이 채택되었다. "해상에서의 무장 세력 부상자, 환자 및 난파자의 상태 개선을 위한" 협약(현재 제2차 제네바 협약)이 1907년 헤이그 협약 X의 후속 조약으로 제네바 협약의 틀 안에 포함되었다. 1929년 제네바 협약 "전쟁 포로의 처우에 관한"은 역사적 관점에서 두 번째 제네바 협약일 수 있지만, 1949년 이후 제3차 협약으로 불리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경험에 대한 반응으로, 새로운 협약인 "전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제4차 제네바 협약이 제정되었다. 또한, 1977년 6월 8일의 추가 의정서는 내전과 같은 내부 분쟁에도 협약을 적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오늘날 네 개의 협약과 추가 의정서는 600개가 넘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최초의 1864년 협약의 겨우 10개 조항과 비교했을 때 상당한 확장을 보여준다.
1963년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ICRC는 적십자연맹과 함께 세 번째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90년 10월 16일, 유엔 총회는 ICRC에 총회 및 소위원회 회의에 대한 참관인 자격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사설 기관에 최초로 부여된 참관인 자격이었다. 1993년부터는 스위스 국민이 아니더라도 해외 위원회 대표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냉전 종식 이후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의 활동은 더욱 위험해졌다. 1990년대에는 특히 지역 및 내전에서 활동하는 동안 역사상 어느 때보다 많은 대표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종종 제네바 협약의 규칙과 그 보호 상징에 대한 존중 부족을 보여주었다.
사망한 대표들 중에는 1992년 5월 19일 전 유고슬라비아에서 사망한 프레데릭 모리스(Frédéric Maurice), 1996년 12월 17일 체첸에서 사망한 페르난다 칼라도(Fernanda Calado) 외 5명, 2001년 4월 26일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사망한 리타 폭스(Rita Fox) 외 5명, 2003년 3월 27일 아프가니스탄에서 사망한 리카르도 뭉구이아(Ricardo Munguia), 2014년 10월 2일 우크라이나에서 사망한 로랑 뒤 파스키에(Laurent Du Pasquier) 등이 있다. 2017년 9월 11일 아프가니스탄에서 로레나 에네브랄-페레스(Lorena Enebral-Perez)가 사망하였다. 2024년 9월 12일에는 도네츠크 지역에서 ICRC 직원 3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당했다.[37]
1994년 르완다 대량학살을 규탄하면서 관례적인 언론 침묵을 깨뜨렸다. 1995년 스레브레니차에서 일어난 범죄를 막기 위해 노력했지만, "현장에 있는 동료들의 헌신에도 불구하고, 비극의 전개에 대한 ICRC의 영향은 매우 제한적이었다"고 밝혔다.[27] 2007년에는 미얀마 군정의 "중대한 인권 침해"를 비난하기 위해 다시 한번 공개적으로 나섰다.[28]
2011년 ICRC는 인도주의적 의료 종사자들에게 가해지는 위험을 강조하기 위해 "위험에 처한 의료" 캠페인을 시작했다.[38]
3. 주요 활동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는 전쟁과 내부 폭력의 희생자들의 생명과 존엄성을 보호하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인도주의적 임무로 하는 공정하고, 중립적이며, 독립적인 기구이다.[40] 제네바 협약 및 자체 규정[41]에 따라, ICRC는 전쟁 당사자들의 제네바 협약 준수 여부를 감시하고, 전장에서 부상당한 사람들을 위한 간호와 치료를 조직한다. 또한 포로의 처우를 감독하고 구금 당국과 기밀 중재를 하며, 무력 충돌에서 실종자 수색을 지원하고(추적 서비스), 민간인에 대한 보호와 돌봄을 조직하며, 전쟁 당사자들 사이에서 중립적인 중재자 역할을 한다.[40]
ICRC는 1965년에 적십자 운동 전체가 채택한 7가지 기본 원칙(인도주의, 공정성, 중립성, 독립성, 자원봉사, 통일성, 보편성)을 마련했다.[42][43]
ICRC의 주요 활동 목적은 무력 분쟁의 희생자 보호 및 구호와 국제인도법의 보급이다. 분쟁 지역에서 재난 및 의료 지원이 이루어지는 경우, ICRC가 주도 기관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적십자 운동 파트너 기관과 협력하여 임무를 수행한다.[76] 난민에 대한 긴급 물자 배포 및 이산가족 추적 조사, 의료 서비스 제공 등 외에도 민간인을 보호하는 국제 인도법 및 적십자 규약의 보급 등에도 함께 노력하고 있다.[76]
ICRC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한다.
- 국제적십자·적신월운동의 7가지 기본 원칙(인도주의·공평무사·중립·독립·봉사·단일성·보편성)의 유지 및 보급
- 각국 적십자사·적신월사의 승인 및 타국 적십자사·적신월사에 대한 통고
- 제네바협약에 위탁된 임무 수행, 무력 분쟁에 적용 가능한 국제 인도법의 이행을 확보하기 위한 실행 및 추진
- 전쟁 및 분쟁 시 인도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중립 기관으로서 노력
- 제네바협약에 기반한 중앙 추적 조사국의 활동 확보
- 의료 요원의 훈련, 의료 기기의 조달
- 적십자·적신월 국제회의에 위탁된 임무 수행
- 포로 및 민간인 억류자 지원
- 본국 송환 협력
- 분쟁 희생자 구호
- 국제 인도법의 발전·보급
ICRC는 이러한 일반적인 임무 외에도 상황과 필요에 따라 적극적이고 신속한 인도적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4. 조직 및 재정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는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48] 약 80개국에 대표부(또는 드물게 "사절단")를 운영하고 있다. 각 대표부는 해당 국가에서 ICRC의 공식 대표인 대표부장의 책임 하에 있다. 3,000명의 전문 직원 중 약 1,000명이 제네바 본부에서 근무하고, 2,000명의 해외 파견 직원이 현장에서 근무한다. 현장 근무자의 약 절반은 대표로 근무하고, 나머지 절반은 의사, 농학자, 기술자 또는 통역사와 같은 전문가이다. 대표부에서는 국제 직원을 약 15,000명의 현지 직원이 지원하여 ICRC의 권한 아래 총 직원 수는 약 18,000명에 달한다. 대표부는 또한 종종 소재 국가의 적십자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ICRC 활동 지원을 위해 적십자사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할 수 있다.
ICRC의 조직 구조는 외부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는 부분적으로 조직의 비밀 유지 때문이기도 하지만, 구조 자체가 빈번한 변화를 겪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사회와 회장단은 오래된 기관이지만, 이사회 의회와 이사회는 20세기 후반에야 설립되었다. 의사결정은 종종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권한과 권력 관계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현재 주요 기관은 이사회와 이사회이다.
ICRC의 의사결정 기관은 이사회(Assembly)이며, 15명에서 25명의 이사(Members)로 구성된다. 이사는 스위스 국민으로부터 선출되며, 4년마다 개선된다. 주요 기관으로는 이사회 외에 평의회(Assembly Council)와 사무국(Directorate)이 있다.
2008년부터 부총재는 크리스틴 베를리(Christine Beerli)이다.[77] 2012년 7월부터 총재(President)는 페터 마우러이다.[78]
ICRC의 재정은 각국 정부의 자발적인 기부금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각국의 기부금은 UN 분담금처럼 부담액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기부는 전적으로 자발적인 것이고 각국의 호의에 맡겨져 있다.
일본 사무소는 일반 대중에게 모금 활동이나 자금 모집을 하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ICRC 활동 자금의 일부가 일본적십자사가 모금한 기부금에서 지원된다.
4. 1. 조직 구조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총회(Assembly)이며, 15~25명의 스위스 국적 이사(Members)로 구성된다.[49] 이사들은 추천을 통해 4년 임기로 선출되며, 연임 제한은 없다. 세 번째 임기 후 재선에는 전체 위원의 4분의 3 찬성이 필요하다.[49] 총회는 목표, 지침, 전략을 정의하고 위원회의 재정 문제를 감독한다.[49]총회 산하에는 평의회(Assembly Council)와 사무국(Directorate)이 있다.[49] 평의회는 총회를 대신하여 일부 사안을 결정하고, 총회 회의를 조직하며, 총회와 사무국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49] 평의회는 의장, 2명의 부의장, 2명의 선출된 위원으로 구성된다. 2019년 질 카르보니에(Gilles Carbonnier)가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 사무국은 ICRC의 일상 업무를 담당하며, 사무총장과 5개 분야의 이사로 구성된다.[49]
총회는 4년 임기의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위원장을 선출한다.[55] 위원장은 총회 의원이자 ICRC의 수장이며, 설립 이후 항상 이사회에도 포함되어 왔다.[55] 위원장의 영향력과 역할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시대와 각 위원장의 개인적인 스타일에 따라 달라진다.[55] 2022년 10월 1일부터 미르야나 스폴야리치 에거(Mirjana Spoljaric Egger)가 위원장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 직책을 역임한 최초의 여성이다.[58][59][60]
ICRC 위원장 목록:
- 1863–1864: 앙리 뒤푸르
- 1864–1910: 귀스타브 무아니에(Gustave Moynier)
- 1910–1928: 귀스타브 아도르(Gustave Ador)
- 1928–1944: 막스 후버
- 1945–1948: 칼 야곱 부르크하르트(Carl Jacob Burckhardt)
- 1948–1955: 파울 루에거/Paul Rueggerde
- 1955–1964: 레오폴드 보아시에(Leopold Boissier)
- 1964–1969: 사뮤엘 고나르(Samuel Gonard)
- 1969–1973: 마르셀 나빌(Marcel Naville)
- 1973–1976: 에릭 마르틴/Eric Martin (physician)de
- 1976–1987: 알렉상드르 에(Alexandre Hay)
- 1987–1999: 코르넬리오 소마루가(Cornelio Sommaruga)
- 2000–2012: 야코프 켈렌베르거(Jakob Kellenberger)
- 2012–2022: 피터 마우러(Peter Maurer)
- 2022–현재: 미르야나 스폴야리치 에거(Mirjana Spoljaric Egger)

(1845-1928)
초창기에는 모든 위원회 위원이 제네바 출신의 개신교도 백인 남성이었다.[50] 1918년 르네-마르게리트 크라머가 최초의 여성 위원으로 추천되었으나 1922년 사임하였다.[50] 냉전 이후 여성 비율은 약 15%였다.[50] 위원회는 스위스 국적이라는 단일 국가적 성격이 자산이라고 믿는다.[51]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은 적십자 행위자조차도 민족주의에 얽매여 중립적인 인도주의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2]
ICRC는 성장하면서 자원봉사자보다 전문 직원의 수가 증가했다. 1914년에는 12명의 직원만 있었지만,[6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1,900명의 직원과 1,800명의 자원봉사자가 있었다.[62] 1970년대부터는 더 전문적인 직원을 양성하기 위해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시작했다.[63] ICRC 직원은 다국적이며, 2004년에는 약 50%가 비스위스 국적이었다.
4. 2. 역대 총재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 총재는 4년 임기로 선출되며, 총회 의원이자 ICRC의 수장이다.[55] 총재는 자동적으로 이사회와 총회의 회원이 되지만, 반드시 ICRC 내부 인사일 필요는 없다. 최근 4명의 위원장은 모두 스위스 정부 관리 출신이었다.[55] 위원장의 영향력과 역할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시대와 각 위원장의 개인적인 스타일에 따라 달라진다.2000년부터 2012년까지 ICRC 위원장은 야코프 켈렌베르거(Jakob Kellenberger)였고,[56] 2012년 7월부터 위원장은 피터 마우러(Peter Maurer)이다.[57] 미르야나 스폴야리치 에거(Mirjana Spoljaric Egger)는 2022년 10월 1일 피터 마우러로부터 직무를 인수하여 이 직책을 역임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58][59][60]
ICRC 위원장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863–1864: 앙리 뒤푸르
- 1864–1910: 귀스타브 무아니에(Gustave Moynier)
- 1910–1928: 귀스타브 아도르(Gustave Ador)
- 1928–1944: 막스 후버
- 1945–1948: 칼 야곱 부르크하르트(Carl Jacob Burckhardt)
- 1948–1955: 파울 루에거/Paul Rueggerde
- 1955–1964: 레오폴드 보아시에(Leopold Boissier)
- 1964–1969: 사뮤엘 고나르(Samuel Gonard)
- 1969–1973: 마르셀 나빌(Marcel Naville)
- 1973–1976: 에릭 마르틴/Eric Martin (Mediziner)de
- 1976–1987: 알렉상드르 에(Alexandre Hay)
- 1987–1999: 코르넬리오 소마루가(Cornelio Sommaruga)
- 2000–2012: 야코프 켈렌베르거(Jakob Kellenberger)
- 2012–2022: 피터 마우러(Peter Maurer)
- 2022–현재: 미르야나 스폴야리치 에거(Mirjana Spoljaric Egger)
4. 3. 재정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의 2023년 예산은 25억 스위스프랑이었다.[46] 이 금액의 대부분은 스위스를 포함한 여러 국가, 각국의 적십자사, 제네바협약 서명국, 유럽연합과 같은 국제기구로부터 나온다.[46] ICRC에 대한 모든 지불은 자발적이며, 위원회가 발행하는 두 가지 유형의 호소(내부 비용 충당을 위한 연례 본부 호소, 개별 임무를 위한 긴급 호소)에 따른 기부금으로 받는다.[46]2021년 ICRC의 주요 기부국(1,000만 스위스프랑 이상)은 미국, 독일, 스위스, 영국,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스웨덴, 노르웨이, 캐나다, 일본, 네덜란드,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벨기에,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핀란드, 스페인, 이탈리아, 뉴질랜드였다.[46] ICRC 예산은 유럽과 북미 정부에 대한 과도한 의존, 개인 기부의 부족, 브릭스 국가로부터의 자금 지원 부족으로 인해 점점 불안정해지고 있다.[46]
2023년 3월 ICRC는 기부금 감소를 보고하고 2023년과 2024년에 4억 3,000만 스위스프랑의 예산 삭감을 발표했으며, 그 결과 본부와 전 세계 대표부에서 1,800개의 일자리가 감소했다.[47] 2022년 기부금 감소는 ICRC에 심각한 재정적 압박을 가했다.[47] 2023년 5월 제네바주의 후원으로 ICRC는 모든 대륙에서 중요하고 생명을 구하는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4,000만 스위스프랑의 추가 기부금을 받고 있다.[47]
ICRC의 재정은 각국 정부의 자발적인 기부금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각국의 기부금은 UN 분담금처럼 부담액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기부는 전적으로 자발적인 것이고 각국의 호의에 맡겨져 있다. 일본에서는 ICRC 활동 자금의 일부가 일본적십자사가 모금한 기부금에서 지원된다.
5. 국제적십자·적신월운동
국제적십자·적신월운동(이하 적십자운동)은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국제적십자적신월사연맹(IFRC), 각국 적십자사·적신월사의 세 조직으로 구성된다.[66][67][68] 각 조직은 재정 및 정책 면에서 독립적이지만, 활동 상 연계되어 있다.[66][67][68] ICRC는 분쟁 지역, IFRC는 자연재해 지역, 각국 적십자사·적신월사는 주로 국내에서 활동하며 기본적인 임무가 다르다. 적십자운동의 최고 결정 기관은 적십자·적신월 국제회의이며, 4년마다 개최된다. 국제회의에는 제네바협약 체약국 정부 대표, ICRC 대표, IFRC 대표, 각국 적십자사·적신월사 대표가 참가한다.
ICRC는 구호 단체를 공식적인 국가 적십자 또는 적신월사로 법적으로 인정하고 적십자 적신월 운동에 받아들이는 책임을 맡는다. ICRC의 인정을 받은 후, 국가 단체는 국제적십자적신월사연맹(IFRC)의 회원으로 가입된다. ICRC와 IFRC는 국제 임무에서 개별 국가 단체와 협력한다. 1997년 세비야 협정에 따라, ICRC는 분쟁 상황에서 주도적인 적십자 기관이며, 운동 내 다른 조직은 비전시 상황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오랜 역사와 국제 인도주의법상의 특수한 지위에 따라 ICRC는 적십자 운동의 주요 기관이지만, 운동 내부에서 권력 다툼을 겪어 왔다. 미국 적십자사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IFRC를 "진정한 국제 적십자"로 만들면서 ICRC를 대체하려 했다.[66] 스웨덴 적십자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ICRC의 스위스 당국을 대체하려고 했다.[67] 시간이 지나면서 스웨덴의 감정은 누그러졌고, IFRC는 수년간의 조직 불화 끝에 ICRC와 더욱 조화롭게 협력하게 되었다.[68]
1997년 ICRC와 IFRC는 세비야 협정에 서명하여 운동 내에서 양 기관의 책임을 더욱 명확히 했다. 이 협정에 따르면, 연맹은 무력 충돌의 일부가 아닌 비상 상황에서 운동의 주요 기관이다.
2006년까지 이스라엘 적십자사(Magen David Adom)는 다윗의 별을 사용했기 때문에 국제연합에 가입되지 못했다. ICRC는 당시 종교적 갈등이 심각했던 지역에서 종교적 상징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이유로 이를 보호 상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국제적십자위원회의 입장에 항의하여 미국 적십자사는 재정 지원을 중단했다. 2005년 제네바 협약 당사국 회의에서 ICRC는 적색 결정이라는 새로운 상징을 채택했다. 이스라엘 적십자사는 그 후 다윗의 별을 적색 결정 안에 넣은 새로운 상징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2006년에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의 정회원으로 인정받았다.[69]
6. 한국과의 관계
6. 1. 한국전쟁과 ICRC
6. 2. 대한적십자사와의 협력
6. 3. 한국 내 ICRC 활동
ICRC는 대한민국 내에서 국제인도법 보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인도적 협력 증진, 국제 인도주의 이슈에 대한 인식 제고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제네바 협약 가입국으로서 ICRC의 활동을 존중하며, 필요한 협력을 제공하고 있다.ICRC는 대한민국 정부, 대한적십자사 등과 협력하여 다음과 같은 활동을 수행한다.
- 정부와의 연계를 통해 심포지엄 및 토론회 등 각종 행사를 공동 개최하여 국제 정세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외교부와 정보를 공유하며 세계의 인도주의 문제에 대해 정기적으로 의견을 교환한다.
- 국방부의 요청에 따라 군 관계자를 대상으로 포로 및 구금자 보호 등 인도법에 기반한 지도, 양성, 훈련 등을 실시하고, 정기적으로 분쟁 지역에서의 활동 방법 및 수단 등에 대한 브리핑을 실시한다.
- 대한적십자사와 협력하여 국제 인도법 보급을 위한 가족 유대 회복 및 해외 인도적 지원에 협력하고, 홍보 활동을 전개하며, 이벤트를 통해 전 세계 적십자의 광범위한 활동을 홍보한다.
- ICRC와 적십자 운동의 활동 및 세계의 인도주의적 위기를 널리 알리고 적십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 더 많은 지원으로 이어지도록 홍보를 전개한다. 한국어 웹사이트 및 SNS 등을 활용하고, 미디어와 연계하여 현장의 정보를 발신한다.
- 대학 및 연구기관, 싱크탱크와 협력하여 심포지엄 및 연구회 등 공개적인 의견 교환의 장을 개최한다.
- 대한적십자사와 협력하여 대한민국 내에서의 인도법 보급에 주력하며, 대학원생, 정부 관계자, 언론인, NGO 관계자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국제 인도법 집중 강좌를 개최한다.
더불어민주당은 ICRC의 활동을 지지하며, 한반도 및 국제 사회의 평화와 인도주의 증진을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16, Key facts and figures
https://www.icrc.org[...]
2018-04-26
[2]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16, Key facts and figures
https://www.icrc.org[...]
2018-04-26
[3]
논문
Norms and War: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the Geneva Conventions
https://www.degruyt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02-01
[4]
웹사이트
Discover the ICRC
http://www.icrc.org/[...]
2009-05-12
[5]
웹사이트
National Society Directory - IFRC
https://media.ifrc.o[...]
2016-04-17
[6]
웹사이트
Nobel Laureates Facts – Organizations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9-10-13
[7]
간행물
IRC, Memory of Solferino
http://www.icrc.org/[...]
ICRC
1986
[8]
웹사이트
The foundation of the Red Cross
https://internationa[...]
2023-03-03
[9]
서적
The Geneva Convention. The Hidden Origins of the Red Cross
Sutton Publishing
2005
[10]
웹사이트
Convention for the Amelior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Wounded in Armies in the Field. Geneva, 22 August 1864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
2017-06-11
[11]
웹사이트
Above the fray : the Red Cross and the making of the humanitarian NGO sector
https://press.uch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02-04
[12]
학술지
For good and country: nationalism and the diffusion of humanitarianism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2016
[13]
서적
Above the fray: The Red Cross and the making of the humanitarian NGO secto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
[14]
서적
Dunant's Dream
Carroll & Graf
1998
[15]
서적
The Humanitari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6]
웹사이트
The Chaco war (1932-1935)
http://www.icrc.org/[...]
2005-01-25
[17]
서적
The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on its activitie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September 1, 1939 – June 30, 1947) Geneva 1948
https://library.icrc[...]
1948
[18]
학술지
On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protection of refugees
https://www.icrc.org[...]
2022-06-20
[19]
학술지
The ICRC in World War Two: The Holocaust
https://www.icrc.org[...]
2017-09-15
[20]
웹사이트
Dialogue with the past: the ICRC and the Nazi death camps - ICRC
https://www.icrc.org[...]
2002-11-05
[21]
서적
The Red Cross and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2]
서적
The Red Cross and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3]
서적
The Red Cross and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4]
학술지
Louis Haefliger und die Befreiung des Konzentrationslagers Mauthausen
2008
[25]
서적
Quaker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The Dilemmas of NGO Humanitarian Activism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07
[26]
서적
Life Lived in Relief: Humanitarian Predicaments and Palestinian Refugee Poli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8
[27]
웹사이트
Srebrenica – remembering the missing
http://www.icrc.org/[...]
2005-07-05
[28]
뉴스
Red Cross Condemns Burman 'Abus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29
[29]
웹사이트
ICRC in WW II: the Holocaust
http://www.icrc.org/[...]
2012-08-28
[30]
웹사이트
Dialogue with the past: the ICRC and the Nazi death camps
http://www.icrc.org/[...]
2002-11-05
[31]
웹사이트
Commemorating the liberation of Auschwitz
http://www.icrc.org/[...]
2005-01-27
[32]
뉴스
Rules of engagement issued to hacktivists after chaos
https://www.bbc.com/[...]
BBC News
2023-10-04
[33]
뉴스
Red Cross officials want civilian hackers to follow rules amid war. Here's why.
https://www.washingt[...]
2023-10-05
[34]
웹사이트
17 December 1996 : Six ICRC delegates assassinated in Chechnya
https://www.icrc.org[...]
ICRC
1997-04-30
[35]
웹사이트
Swiss ICRC delegate murdered
http://www.irinnews.[...]
IRIN
2003-03-28
[36]
논문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n Afghanistan: Reasserting the neutrality of humanitarian action
https://www.cambridg[...]
2011
[37]
웹사이트
Ukraine: 3 ICRC staff killed after shelling hits aid distribution site in Donetsk region
https://www.icrc.org[...]
ICRC
2024-09-12
[38]
논문
The deadly effects of violence against medical workers in war zones
https://www.cmaj.ca/[...]
2011-09-20
[39]
웹사이트
Emblem
http://www.icrc.org/[...]
2014-07-28
[40]
웹사이트
The Mission
http://www.icrc.org/[...]
ICRC
2006-05-07
[41]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http://www.icrc.org/[...]
2013-10-03
[42]
서적
The Humanitarians: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3]
웹사이트
The Fundamental Principles
http://www.icrc.org/[...]
ICRC
1995-01-01
[44]
웹사이트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 Schengen Visa Working Party – Table of travel documents
http://www.udiregelv[...]
[45]
웹사이트
Legal bases : Extract from ICRC Annual Report 2009
https://web.archive.[...]
2009
[46]
웹사이트
ICRC Annual Report 2021, Volume II
https://library.icrc[...]
ICRC
2022-06
[47]
뉴스
Canton Geneva promises CHF40 million to troubled Red Cross
https://www.swissinf[...]
Swissinfo Foreign Affairs
[48]
웹사이트
Red Cross faces Covid-related job cuts in Geneva
https://www.swissinf[...]
SWI swissinfo.ch
2020-09-16
[49]
서적
The Humanitarians
[50]
서적
The Humanitarians
[51]
서적
The Humanitarians
[52]
서적
La Protection
[53]
웹사이트
vice-president-news-270407
http://www.icrc.org/[...]
ICRC
2007-04-27
[54]
웹사이트
Th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http://www.icrc.org/[...]
ICRC
2006-01-01
[55]
서적
The Humanitarians
[56]
서적
The Humanitarians
[57]
웹사이트
ICRC names new president
http://www.icrc.org/[...]
ICRC
2011-10-19
[58]
뉴스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elects Mirjana Spoljaric Egger as next president
https://www.icrc.org[...]
ICRC
2021-11-25
[59]
뉴스
Mirjana Spoljaric Egger assumes the presidency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https://www.icrc.org[...]
ICRC
2022-10-01
[60]
뉴스
Erstmals übernimmt eine Frau das IKRK-Präsidium
https://www.srf.ch/n[...]
SRG, German Swiss Broadcasting Corporation
2021-11-25
[61]
서적
La question humanitaire
Ellipses
1999
[62]
서적
La question humanitaire
[63]
서적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84
[64]
뉴스
Le CICR manqué de bras
LM
2002-07-20
[65]
서적
The Humanitarians
[66]
서적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From Sarajevo to Hiroshima
ICRC
1984
[67]
서적
The Humanitarians
[68]
서적
The Humanitarians
[69]
웹사이트
MDA symbol on ambulances in Yesha still unresolved
https://www.ultimate[...]
[70]
서적
International Public Health: Diseases, Programs, Systems, and Policies
https://archive.org/[...]
Jones and Barlett
2006
[71]
논문
Choices More Ethical Than Legal: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Human Rights
[72]
웹사이트
Speech before the British Red Cross, London
http://www.icrc.org/[...]
2003-07-10
[73]
서적
Condemned to Repeat? The Paradox of Humanitarian Ac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74]
웹사이트
Interview on Larry King Live
http://transcripts.c[...]
CNN
2000-05-16
[75]
서적
Long Walk to Freedom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76]
웹사이트
「赤十字運動」とパートナー機関
https://jp.icrc.org/[...]
2024-02-24
[77]
뉴스
広島市長、協調訴え NPT準備委 各国代表らと懇談
https://www.hiroshim[...]
中国新聞
2013-04-24
[78]
뉴스
ICRC新総裁にペーター・マウラーが着任
http://jp.icrc.org/2[...]
赤十字国際委員会
2012-07-02
[79]
웹사이트
ICRC elects new president
https://www.mext.go.[...]
ICRC
2021-11-25
[80]
뉴스
赤十字国際員会に初の女性総裁が就任へ
https://www.swissinf[...]
スイス放送協会
2021-12-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